728x90 반응형 SMALL 전체 글31 음악 유통사가 하는 일 : 투자 기획사가 음악을 제작하면 유통사는 서비스사에게 음악을 전달해 소비자인 리스너들이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유통사는 자본이 부족한 기획사에 투자를 하고, 기획사를 대리하여 음악을 유통하는데 그때 발생하는 유통수수료가 유통사의 가장 기본적인 수익 모델이다. 유통사의 투자팀은 아래와 같은 업무를 수행한다. 투자 기획사가 투자를 받는 가장 큰 이유는 음악을 제작하는 비용이 부족해서이다. 기획사는 음악을 제작할 뿐만 아니라 아티스트를 교육하고 훈련시키는 데에도 비용을 쓰게 된다. 초기 비용이 의외로 많이 든다. 반면 수익은 그룹이 데뷔해 앨범 활동을 한 이후에야 발생한다. 그래서 부족한 음악 제작비를 채우기 위해 유통사에게 투자를 받는다. 제작비가 부족하지 않은 경우에도 투자를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는 비용.. 2023. 6. 4. 아이돌 기획사 공연사업팀이 하는 일과 콘서트 제작 아공연은 엔터테인먼트의 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회사가 진행했던 앨범 제작, 마케팅 등 모든 업무를 종합적이고 집약적으로 선보일 수 있는 것이 바로 공연이다. 음악 방송은 음향과 무대의 제약이 있으나 공연은 비교적 자유롭게 원하는 바를 펼칠 수 있다. 전체 테마를 아우르는 각 무대 기획과 조명, 심장을 쿵쾅거리게 만드는 강렬한 사운드, 폭죽과 꽃가루, 불꽃 (가끔가다 물줄기) 같은 특수효과 등이 한순간, 한 공간에 집약되어 있는 종합 예술인 셈이다. 공연사업팀의 업무 처음 공연을 기획하는 일부터 투자를 받아오는 일, 콘서트홀 대관을 잡고 제작부터 보안, 주차, MD판매 등의 전반적인 운영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인원이 2~3시간 러닝타임의 공연 한 번을 위해 의기투합한다. 공연 담당자는 아티스트와 프로.. 2023. 6. 2. K-pop 아이돌 기획사의 마케터와 팬 마케터 간 차이점 마케터 흔히 홍보나 마케팅이라고 하면 대규모의 자본을 투자해서 집행하는 TV 등 매체 광고를 떠올리기 쉬우나, 아이돌 산업에서의 마케터는 다른 산업의 마케터와 조금 다른 역할을 한다. 상품이 아닌 사람을 기획하고, 그 사람에 대한 이미지를 만드는 일을 하는 게 기획사 마케터다. 무조건 팔기보다 내 아티스트를 어떻게 알릴지가 더 먼저이고 중요한 일이다. 마케터는 광고처럼 자본을 들여 실행하는 것 외에도 어떤 내용이 광고 콘텐츠에 들어가는지 신경 쓰고, 그것이 담당하는 아이돌의 이미지나 특성에 적합한지 고민해서 실행하고 있다. 때로는 대중의 요구나 취향을 반영하는 것, 그리고 아티스트가 가진 생각과 가치관, 살아온 삶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 또는 아티스트가 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회사의 생각과 방향보다 더욱 강.. 2023. 6. 2. K-pop 아이돌 기획사의 궁금한 직무들 : 캐스팅 매니저와 비주얼디렉터 캐스팅 매니저 기획사에서 데뷔시킬 아이돌의 콘셉트와 방향을 정하면 그러한 방향에 어울리는 인물을 찾아 연습생으로 꾸리는 게 캐스팅 매니저가 하는 일이다. 기술이나 전문지식이 필요하지는 않기 때문에 누구라도 될 수 있고 가능하다. 그럼에도 캐스팅 매니저는 캐스팅을 잘하기 위해 노하우와 전략을 가지고 움직인다. 어떤 기획사에서는 모든 직원이 인물을 추천할 수 있고, 만약 그 추천한 인물이 캐스팅되면 해당 인물을 추천한 직원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제도까지 있을 정도다. 이렇게 캐스팅은 누구나 할 수는 있지만 매우 중요한 역할이다. 캐스팅 매니저는 스타가 되기 이전의 평범한 인물을 보고 어떠한 잠재력이 있는지, 스타성은 있는지, 연습생 기간은 잘 버틸 수 있을지, 인성이 어떤지를 짧은 만남동안 파악하여 계약을 결.. 2023. 6. 1. 기획사의 실무자들 : A&R이 하는 일 A&R은 Artist and Repertoire의 약자로 아티스트는 말 그대로 뮤지션을 뜻하고 레퍼토리란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곡을 의미한다. 쉽게 말하면 사람인 아티스트 브랜딩과 음악인 앨범 브랜딩을 총괄하는 사람을 칭한다. A&R은 아티스트 기획 및 앨범 제작 과정에서 구심점 역할을 하기 때문에 캐스팅부터 트레이닝, 콘셉트 기획, 비주얼, 마케팅과 사업단의 콘텐츠 등 모든 영역에 참여한다. 초반에는 아티스트에 맞는 음악을 작곡가에게 받아오는 음악 소싱과 작곡가 작사가 관리, 음악을 제작하는 일에 국한해 사용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신인을 발굴하고 교육하는 캐스팅, 트레이닝부터 음악을 수집하는 일과 프로덕션, 콘텐츠 기획, 프로모션 콘텐츠를 만드는 일까지 업무 영역이 점점 더 확장되고 있다. 회사의 규모.. 2023. 5. 30. 실용음악학원 커리큘럼으로 보는 작사가 데뷔 방법 작사가로 활동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실용음악 전공을 하거나 실용음악 학원에 등록해 교육을 받는 것과, 두 번째는 직접 아티스트가 되어 싱어송라이터로 활동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직접 작곡까지 배우고 아티스트 활동을 하는 데 열망이 있다면 가장 빠른 데뷔 방법이긴 하나 이 포스팅에서는 1) 음악을 전공하지는 않았으나 2) 작사가로서만 활동하길 원하는 사람들을 위해 실용음악학원에서 작사가 과정을 배우는 방법에 대해서만 소개하겠다. 또 모든 학원이 동일하지 않고 개인적인 견해가 강하게 섞여있으므로 내가 어떻게 배웠는지에 대해서 참고만 하시기를 부탁드린다. 요즘은 예전보다 훨씬 교육 기관이 많아졌고 그 수준도 높아졌다. 또한 이론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실제 음악시장에서 활동하고 .. 2023. 5. 29. 이전 1 2 3 4 5 6 다음 more 728x90 반응형 LIST